용어 정리
Bandwidth wiki 텀즈 일반적인 대역폭 ( bandwidth )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주파수 의 범위로, Hz 단위로 측정된다. 멀티미디어에서는 bandwidth의 의미가 다르며 단위는 bps를 사용한다. Hz는 초당 주파수이고 bps는 초당 bit이다. 0/1을 주파수에 실어 보내는 방식이 여러가지이기 때문에 Hz와 bps를 연관짓기는 어렵다. 그러나 방식이 같다면 Hz와 bps는 비례한다고 볼수 있겠다. Streaming contents의 metadata의 bandwidth는 해당 streaming을 위해 필요한 bandwidth를 의미하며, 예로 bandwidth = 300kbps이면 해당 content를 재생하기 위해선 네트워크가 1초에 300kbit를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BitRate wiki 1초에 해당하는 media에 들어갈 수 있는 bit로 BitRate가 높다는 것은 1초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bit가 많다는 것이고 이것은 media의 quaily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RTP Realtime Transport Protocol의 약자. UDP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Protocol로 Header에 Sequence Number와 TimeStamp 및 코덱 정보등을 포함하고 있다. Payload type(PT) : Audio/Video encoding type Sequence number : 패킷의 순서 Timestamp : 데이터 패킷의 첫번째 byte의 TimeStamp Syncronization Source(SSRC) : 전송되는 stream의 id. 예로 복수개의 channel(한국어 음성/ 영어 음성)을 동시에 streaming 할 경우 해당 필드로 각각의 streaming이 어느 channel인지 구분. etc. Muticast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