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ubuntu인 게시물 표시

Ubuntu에서 wireshark 사용하기

이미지
Ubuntu에 wireshark를 처음 설치 하고 실행하면 network interface가 보이지 않아 패킷 캡춰를 할 수 없다. 이유는 권한 문제인데 super user 권한으로 실행하면 된다..  문제는 매번 이렇게 하기 귀찮다라는 것. terminal에 이렇게 입력해 보자 $ sudo dpkg-reconfigure wireshark-common 위 화면이 나오면 wireshark를 root 권한으로 쓰는 것의 대안으로 Dumpcap을 설치하고 일반 사용자도 패킷 캡춰할 수 있도록 할꺼냐고 물어본다.  <Yes> 를 선택한 후 wireshark를 실행하면  일케 나온다.. -_-  ls로 해당 파일의 속성을 보면 헐.. file permission이 owner랑 group에만 실행 가능 하다고 나와 있다. -_-;; 일반 사용자도 쓸수 있다며;; (이해 안되면  FilePermissions  참고 하시길..) 아래와 같이 실행 권한을 주자. $ sudo chmod +x /usr/bin/dumpcap 다시 파일 속성을 확인 하면 마지막에 실행 권한이 추가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다시 wireshark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network interface가 정상적으로 잡힘을 확인 할 수 있다. 끝.

Ubuntu colorgcc 설정

이미지
Terminal에서 gcc로 Build 할때 compile log가 너무 많으면 error log를 찾기 너무 힘들다. 그래서 찾아본 것이 "colorgcc". colorgcc는 compile log를 error는 빨간색,  code line은 파란색,  warning은 노란색 으로 표시해준다. 설치해 보자. $ sudo apt-get install colorgcc 설치 후 아래와 같이 gcc를 호출하면 colorgcc를 알아서 호출하도록 설정한다. $ cd /usr/local/bin $ ln -s /usr/bin/colorgcc gcc $ ln -s /usr/bin/colorgcc g++ 실행해보면 설치전 아래와 같이 삭막한 log를 이렇게 화사하게 바꿔준다 ㅋ 끝.

Ubuntu 14.04 한글키 설정

이미지
Ubuntu 14.04 첫 설치 후 매우 당황하게 만들었던 점이 한글.. Unity에 한글이 깨져서 ???로 보이는 문제와 한영 전환이 되지 않는 것 이었다. 추가로 한글의 윗부분이 잘리는 문제도 있고.. ㅋ Unity에 한글이 깨지는 문제랑 한글 윗부분이 잘리는 것은 언젠간 고쳐주겠지.. 어짜피 home에 한글 폴더가 생기는것도 싫고 Unity에 ???도 보기 싫어 Language를 영문으로 변경 ㅋ 한글만 입력 되는 것은 키보드에서 영어 키보드를 추가해주면 된다. 일단 한글 영문 전환 설정만 고쳐보겠다. 나머지 문제도 다 고치고 싶다면 우분투 한국 커뮤니티 > 팁 게시판 에 가면 능력자분들이 정리 해놨으니 참고 하시고, System Setting을 실행하면 보이는 첫째 줄 제일 오른쪽에 있는 "Text Entry"를 클릭하면 아래의 화면이 나온다. 만약 언어를 한글로 설치했다면 한글(Hangul)만 보인다. 아래 + 를 눌러서 English(US)를 추가해 주자. 위와 같이 추가 해줘도 키보드의 한글키로 전환은 아직 안된다. 위 그림의 switch to next source using을 Hangul키로 set하고 싶어도 alt, ctrl, shift중 하나를 사용한 단축키를 설정하라고 나온다. 우분투 14.04의 사용자 정의 단축키 정책이 그렇게 바뀐듯. ㅋ Hangul 키를 단축키로 사용하려면 dconf-editor 를 사용하여 편집하면된다. 먼저 깔자. $ sudo apt-get install dconf-editor 설치 완료 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왼쪽 tree menu에서 org > gnome > desktop > wm > keybinding  을 선택하면 나오는 오른쪽 목록에서 "switch-input-source"의 값을 아래와 같이 "Hangul" 로 변경한다. ...